서론나이가 들수록 이상하게도 시간은 빨리 흐르는 것처럼 느껴지고, 어린 시절의 기억은 오히려 또렷해진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 단순히 나이를 먹어서일까, 아니면 뇌가 시간을 다르게 저장하기 때문일까. 우리의 뇌는 하루하루를 카메라처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사건만 선별해 남긴다. 그래서 똑같은 하루를 살아도 어떤 날은 오래 남고 어떤 날은 금세 잊힌다. 기억은 시간의 부산물이 아니라, 시간의 모양을 만드는 주체다. 결국 우리가 느끼는 ‘시간의 속도’는 시계가 아니라 기억의 밀도로 결정된다.본론기억은 단순히 과거를 저장하는 기능이 아니다. 최근 뇌과학 연구에서는 인간의 기억이 ‘시간의 지도’를 그리는 능력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하버드대 인지신경학팀은 사람이 과거를 회상할 때와 미래를 상상할..